사랑방/법률양식

상속재산포기심판청구

은빛청년 2018. 8. 27. 21:13


상속재산포기 심판청구서.hwp


[서식 예] 상속재산포기 심판청구서



상 속 재 산 포 기 심 판 청 구




청구인(상속인) 1. ○  ○  ○(주민등록번호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주소   ○○시 ○○구 ○○길 ○○(우편번호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전화   ○○○ - ○○○○   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2. ○  ○  ○(주민등록번호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주소   ○○시 ○○구 ○○길 ○○(우편번호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전화   ○○○ - ○○○○   


사건본인(사망자)     △  △  △(주민등록번호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사망일자   20○○. ○. ○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등록기준지   ○○시 ○○구 ○○길 ○○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최후주소   ○○시 ○○구 ○○길 ○○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
상속재산 포기 심판 청구


           

청  구  취  지


청구인들의 망 △△△에 대한 재산상속포기 신고는 이를 수리한다.

라는 심판을 구합니다.



청  구  원  인


청구인들은 피상속인 망 △△△의 재산상속인으로서 20○○. ○. ○. 상속개시가 있음을 알았는바, 민법 제1019조에 의하여 재산상속을 포기하고자 이 심판청구에 이른 것입니다.



첨  부  서  류


1. 가족관계증명서(청구인들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각 1통

1. 주민등록등본(청구인들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각 1통

1. 인감증명서(청구인들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각 1통

       (청구인이 미성년자인 경우 법정대리인(부모)의 인감증명서)

1. 기본증명서(망인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통

       (2008.  1.  1. 전에 피상속인이 사망한 경우에는 제적등본)

1. 가족관계증명서(망인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통

1. 주민등록말소자등본(망인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통

1. 가계도(직계비속이 아닌 경우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통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

 20○○년   ○월   ○일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청 구 인      1. ○  ○  ○  (인감도장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2. ○  ○  ○   (인감도장)













○ ○ 가 정 법 원     귀 중


 


제출법원

상속개시지를 관할하는 가정법원
(상속개시지는 
원칙적으로 망자의 최후 주소지를 말함. 단, 주소를 알 수 없는 경우는 최후의 거소(居所)지를, 거소지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사망지를 상속개시지로 봄 - 민법 제19조, 제20조)

제출기간

※ 아래(1)참조

신 청 인

·상속인(공동상속인 경우에는 각 상속인)

제출부수

신청서 1부

관련법규

민법 제1019, 제1041조, 가사소송법제2조제1항라류, 제44조6호

불복절차 및  기간

·즉시항고(가사소송규칙 제27조)

·심판의 고지가 있은 날로부터 14일내(가사소송규칙 제31조)

비    용

·인지액 : 청구인별 각 5,000원(가사소송수수료규칙 제3조1항, 제5조제3항2호)

·송달료 : 청구인수×000원(1회송달료)×4회분

기    타

 피상속인이 적극재산보다 소극재산이 더 많은 경우 상속을 포기함으로써 채무의 상속을 피할 수 있음

 

※ 제 척 기 간

     상 속의 개시가 있음을 안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상속포기심판청구를 법원에 제기하면 된다.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이란 상속개시의 원인되는 사실의 발생을 알고 또 이로써 자기가 상속인이 되었음을 안 날을 말한다. 일반적으로 사망사실을 안 날로부터 진행되고 동거인이 아니었다면 사망신고가 된 날로부터는 알게 되었다고 보고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따져야 함.

      한편 상속인은 상속채무가 상속재산을 초과하는 사실을 중대한 과실없이 위 기간내에 알지 못하고 단순승인(민법제1026조제1호)을 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안 날로부터 3월내에 한정승인을 할 수 있음(신설 2002. 1. 14).





상속재산포기 심판청구서.hwp
0.04MB